⭐️ 증시 한줄평
아시아 증시 하락 속에서도 선방한 코리아… 대선·관세 불확실성 속 방어력 부각
📊 주요 지수 요약
- KOSPI: 2,698.97p (+0.05%)
- KOSDAQ: 740.29p (+0.81%)
- 코스피는 대선을 하루 앞두고 혼조세를 보이며 강보합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수출 호조가 하방을 방어했고, 정책 기대감은 일부 금융주에 반영됐으나 철강주는 관세 이슈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은 화장품·의료기기·엔터 등 수출경쟁력 업종이 상승하며 강세 마감했습니다.
💱 환율 및 금리
- 원/달러 환율: 1,373.1원 (-7.0원)
- 국고채 3년물 금리: 2.340% (-0.7bp)
- 원화 강세가 이어지며 환율은 1,370원대 초반으로 하락. 미국발 금리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면서 환율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습니다.
🏦 수급 동향
🔸 코스피
- 외국인: +1,250억 원 순매수
- 개인: +990억 원 순매수
- 기관: -2,415억 원 순매도
-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매수에 나선 반면, 기관은 금융주 중심으로 대거 차익실현 매도에 나섰습니다. 외국인은 전기전자와 기계, 일부 금융지주에 집중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 코스닥
- 외국인: +1,110억 원 순매수
- 기관: +144억 원 순매수
- 개인: -1,202억 원 순매도
-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지수는 상승했습니다. 개인은 수익실현 매도세를 보이며 이익을 실현하는 흐름이었습니다.
🧾 투자자별 비중 변화 상위 종목
💼 기관 지분율 상승 Top 10
- 노바렉스 (+0.85%p) – 건강기능식품 ODM 기업, 실적 성장세 지속
- 바이넥스 (+0.61%p) – CDMO(위탁생산) 관련 기대감 지속
- 희림 (+0.49%p) – 중동 수주 기대감 속 건축 설계업 관심
- RFHIC (+0.46%p) – GaN 기반 통신 장비 수요 증가
- SBS (+0.42%p) – 콘텐츠·방송주, 배당 및 실적 안정성 부각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0.41%p) – 패션 OEM 수출 증가 및 환율 수혜
- 롯데관광개발 (+0.37%p) – 카지노·면세점 수혜 기대
- 미코 (+0.37%p) – 반도체 장비 및 부품, 클린룸 수요 증가
- 에코볼트 (+0.37%p) – 2차전지·ESS 부품주로 부각
- 슈프리마 (+0.35%p) – 지문인식·보안기술 기업, 기술 수출 기대
💼 기관 지분율 하락 Top 10
- 키스트론 (–14.92%p) – 급등 후 차익 실현, 기관 이탈
- 한켐 (–1.48%p) – 케미칼 관련 모멘텀 둔화
- 나인테크 (–1.01%p) – 2차전지 장비주, 수급 조정
- 비트맥스 (–0.79%p) – 소형주 중심 차익 실현
- 엘케이켐 (–0.76%p) – 화학주 단기 재료 소멸
- 에이아이코리아 (–0.54%p) – AI 모멘텀 둔화
- 아이스크림미디어 (–0.45%p) – 교육 콘텐츠 관련 테마 소강
- 아이티센글로벌 (–0.44%p) – IT서비스주 단기 수급 약화
- 원익 (–0.43%p) – 반도체 부품주 수급 조정
- 동방메디컬 (–0.4%p) – 의료기기주 수급 약세
🌍 외국인 지분율 상승 Top 10
- 태웅 (+2.36%p) – 풍력발전 테마, 조선 기자재 수혜
- 핑거 (+1.90%p) – 간편결제·핀테크 솔루션 기업, 성장성 부각
- 오리엔트정공 (+1.54%p) – 자동차 부품 수출 기대
- 한글과컴퓨터 (+1.48%p) – AI·오피스 SW 성장 기대
- 미트박스 (+1.30%p) – 축산 유통 플랫폼, 물가 관련 수혜
- 에스퓨얼셀 (+1.21%p) – 수소연료전지 관련 수혜
- 원텍 (+1.17%p) – 레이저 의료기기 수출 증가
- SDN (+1.09%p) – 태양광 및 전기선박 테마 수혜
- 솔트룩스 (+1.09%p) – 생성형 AI·챗봇 기술 부각
- 엘케이켐 (+1.07%p) – 배터리·화학 소재 관련 기대
🌍 외국인 지분율 하락 Top 10
- 키스트론 (–3.37%p) – 급등락 종목, 외인 차익 실현
- 세코닉스 (–3.11%p) – 자동차 카메라 모듈 업체, 수급 부담
- 캡스톤파트너스 (–2.00%p) – 벤처투자 테마주, 고점 부담
- 한농화성 (–1.72%p) – 정밀화학주 조정 흐름
- 에이럭스 (–1.04%p) – AI·전장부품 관련 테마 약화
- 엔비티 (–0.88%p) – 리워드 플랫폼 기업, 실적 부담
- 신원 (–0.88%p) – 패션주 수급 약화
- 오름테라퓨틱 (–0.86%p) –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 외인 이탈
- 넥스틸 (–0.84%p) – 강관주 조정 흐름
- 동양철관 (–0.83%p) – 수도관 관련 테마주, 테마 소멸
👤 개인 지분율 상승 Top 10
- 키스트론 (+19.08%p) – 외인·기관 매도분 개인 매수 대응
- 세코닉스 (+3.14%p) – 수급 공백을 개인이 메움
- 한농화성 (+1.70%p) – 화학 테마 저가 매수세 유입
- 캡스톤파트너스 (+1.55%p) – 벤처·창투주 개미 선호
- 엔비티 (+1.26%p) – 플랫폼 관련주, 개인 매수 증가
- 오름테라퓨틱 (+1.26%p) – 바이오 중소형주 개별 매매
- 신원 (+1.23%p) – 패션 관련 테마 매수세
- 세아제강 (+1.16%p) – 철강주 가격 상승 기대
- 에이럭스 (+0.96%p) – 소형 AI 테마주 집중
- 넥스틸 (+0.94%p) – 강관주 수급 개선 기대
👤 개인 지분율 하락 Top 10
- 핑거 (–1.94%p) – 외국인 매수 강세
- 한글과컴퓨터 (–1.92%p) – 외국인 주도 수급 전환
- 태웅 (–1.91%p) – 외인 수급 강화, 개인 이탈
- 오리엔트정공 (–1.44%p) – 외국인 매수 집중
- 노바렉스 (–1.35%p) – 기관 집중 매수
- 미트박스 (–1.33%p) – 외국인 비중 확대
- 원텍 (–1.26%p) – 외인 수급 유입
- 에스퓨얼셀 (–1.22%p) – 외국인 매수 지속
- 솔트룩스 (–1.16%p) – AI 테마 외인 집중
- 평화홀딩스 (–1.14%p) – 수급 차익 실현
📰 시장 주요 이슈
① 트럼프發 철강 관세 인상 발언
: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밝히면서 철강 업종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그간 트럼프의 발언 패턴상 실제 집행 가능성에 대해선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② 6·3 대선 경계감과 정책 기대 혼재
: 대선을 하루 앞두고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높아졌지만, 대선 이후 약 30조 원 규모의 추경 편성과 부양책 발표가 예정돼 있어 정책 수혜 기대감은 유효한 상황입니다. 일부 대형 금융주와 건설주에 정책 모멘텀 기대가 유입되었습니다.
③ 5월 반도체 수출 +21% 증가
: 5월 반도체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21.2% 증가한 138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반도체 대표주들이 강세를 보였고, 수출 회복에 대한 기대도 커졌습니다.
📅 오늘의 테마별 강세주
#수출경쟁력
- 화장품, 의료기기, 반도체 중심으로 강세.
- 특히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과 맞물려 화장품·의료기기 업종에 매수세 집중.
- 반도체는 수출 호조에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삼성전자, 하이닉스 모두 상승.
#해운 / 물류
- HMM이 4%대 강세를 보이며 운송창고 업종 전반을 끌어올렸습니다.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전주 대비 30% 넘게 급등하면서 해운업체들의 이익 개선 기대가 부각되었습니다.
- 미국의 중국 해운사 규제 가능성도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연결.
#정책 기대 관련주
- 대선 이후 발표될 부양책과 추경을 선반영하며 건설, 지주사, 기계 등의 일부 정책 관련 업종에 매수세 유입.
- 다만 금융주는 최근 단기 급등 피로감으로 하락 전환.
📈 업종별 강세
강세 업종으로는 운송창고, 운송장비부품, 건설 업종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 운송창고 업종은 해운 운임 급등 소식과 HMM의 강세로 시장 내 수급이 집중되었고,
- 운송장비부품은 일부 자동차 부품주의 실적 기대와 완성차 물량 회복 기대감이 반영됐습니다.
- 건설 업종은 대선 이후 도시개발·SOC 투자 기대가 살아나며 정책주 수급이 유입되었습니다.
📉 업종별 약세
약세 업종으로는 은행, 금융, 보험 업종이 두드러졌습니다.
- 은행 업종은 최근 급등세에 대한 차익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되며 하락했습니다. 특히 KRX 은행지수는 하루에만 2.7% 넘게 밀렸습니다.
- 금융 업종은 대선 전 경계 심리와 미국 금리 불확실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고,
- 보험 업종은 실적 둔화 우려가 반영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소극적으로 전환된 모습입니다.
🧬 특징주
- 삼성전자(+1.07%), SK하이닉스(+1.47%):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상승
- HD현대중공업(+5.55%): 방산 수출 및 조선 수주 기대감 부각
-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6%): 항공우주 테마 지속 강세
- 노바렉스(+8.94%), 비피도(+5.88%): 건강기능식품 수출 기대감 부각
- KB금융(-4.12%):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차익 매물 집중
🧭 전략 포인트
- 수출 회복 + 정책 기대 = 수출주·정책주 쌍끌이 기대
: 반도체와 같은 수출주와, 건설·지주·철도 등 정책 관련주 모두 중기적 관점에서 관심 필요 - 차별화 장세 지속 예상
: 전반적인 지수는 제한적일 수 있으나, 실적 기반 저평가주와 수혜 업종 내 순환매 흐름 지속 가능성 높음 - 대선 이후 모멘텀에 주목
: 추경 규모, 발표 시점, 구체적 항목 등 정책 방향에 따라 투자 전략 달라질 수 있음
💬 투자자에게 드리는 한마디
대선을 앞둔 시장은 혼조세를 보였지만, 수출 회복세와 정책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모멘텀입니다. 특히, 철강이나 금융처럼 단기 급등한 업종은 조정받고, 수출·물류처럼 실적 기반 기대가 있는 업종은 강세를 보이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대선 이후에는 본격적인 정책 드라이브와 추경 발표가 예상되는 만큼, 변동성 구간에서는 오히려 실적이 뒷받침되는 정책 수혜 업종을 중심으로 차분히 대응해보시길 바랍니다.
흔들림 속에서도 기본을 갖춘 종목은 살아남습니다. 지금은 종목의 옥석을 가릴 때입니다.
👉 본 내용은 단순히 투자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 정리입니다.
👉 만수르_찰리블로그 https://blog.naver.com/stock_com
'stock > 국내 증시 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5일(목) 국내 증시 마감 (7) | 2025.06.07 |
---|---|
2025년 6월 4일(수) 국내 증시 마감 (4) | 2025.06.04 |
2025년 5월 30일(금) 국내 증시 마감 (2) | 2025.05.31 |
2025년 5월 29일(목) 국내 증시 마감 (2) | 2025.05.29 |
2025년 5월 28일(수) 국내 증시 마감 (1)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