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국내 증시 마감

2025년 6월 9일(월) 국내 증시 마감

by 만수르_찰리 2025. 6. 9.


⭐️ 증시 한줄평

정치 불확실성 해소 + 정책 기대감이 만든 랠리, 코스피 11개월 만에 2,800선 회복


📊 주요 지수 요약

지수 종가 등락률 비고
코스피 2,855.77pt ▲1.55% 11개월 만에 2,800선 재돌파
코스닥 764.21pt ▲1.06% 3개월 만에 760선 회복
 

💱 환율 및 금리

  • 원/달러 환율: 1,359.6원 (▼4.5원) – 7개월 만에 1,350원대 진입
  • 국고채 3년물: 2.406% (▼0.6bp)
  • 국고채 10년물: 2.868% (▼2.2bp)
    추경 불확실성 완화저가 매수 심리에 힘입어 채권 금리 하락

💸 수급 동향

투자자 코스피 특징
외국인 +9,450억 원 순매수 3거래일 연속 매수, 전기전자·금융 집중
기관 순매수 연기금 중심, IT·금융 중심 매수
개인 -1조 원 이상 매도 차익실현 확산, 전 업종 고른 매도

📰 주요 시장 이슈

  • 이재명 대통령 취임 효과
    → 정치 리스크 해소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정책 강화 신호
  • 미중 무역 회담 개시(런던)
    → 루트닉 美 장관 참여에도 협상 기대감 우세
    → 희토류 수출 완화 등 긍정적 분위기
  • 글로벌 경기 둔화 신호
    → 美 고용·서비스 지표 부진 → 금리 인하 기대 확대
  • 삼성전자·SK하이닉스
    → 외국인 순매수 + 아마존 데이터센터 뉴스로 강세

📈 강세 테마 및 특징주

1. 반도체 / 전기전자

  • 정부 지원 정책, 아마존 수요 증가 기대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상승 주도
  • 외국인 나흘 연속 ‘사자’ 행진

2. 자동차 / 2차전지

  • 외국인 저가 매수 유입
  • 현대차 +4.32%, LG에너지솔루션 반등 시도

3. 원전 관련주

  • 체코 원전 수주 확정
  • 두산에너빌리티 +7.62% 등 강세

4. 증권 / 전선 / 엔터

  • 밸류업 정책 기대감 → 키움증권(+9.0%), 삼성증권(+4.1%)
  • LS마린솔루션 +22.5%, 대한전선 +11.6%
  • 하이브 +5.8%, JYP Ent. +3.1% (한중 문화 교류 개선 기대)

5. 암호화폐 / 스테이블코인

  • 김용범 전 차관 정책 실장 임명
  • 카카오페이 +29.9%, 갤럭시아머니트리 +30.0%

📉 약세 테마 및 특징주

1. 2차전지

  • 테슬라 주가 부진 + BYD 가격 인하
  • 치킨게임 우려에 하락
  • 엘앤에프 -9.5%, 에코프로비엠 -4.1%, 삼성SDI -2.2%

2. 조선 / 방산

  • 차익실현 물량 출회
  • HD현대미포 -5.4%, 한화오션 -3.1%, 한국항공우주 -5.2%

3. 기타 약세 업종

  • 미용기기, 바이오, 일부 유통주 기술적 과열로 조정 우려

🔎 종목별 주요 등락

상승 종목 하락 종목
카카오 +16.03% HD현대미포 -5.18%
카카오페이 +29.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76%
현대차 +4.32% LG에너지솔루션 -2.06%
SK하이닉스 +2.00% 엘앤에프 -9.5%
LS마린솔루션 +22.5% 에코프로비엠 -4.1%

🧾 투자자별 비중 변화 상위 종목

💼 기관 지분율 상승 Top 10

  • 케이씨티(+0.88%p) – 키오스크 단말기 전문, 공공분야 확대 기대
  • 세명전기(+0.84%p) – 전선 관련주,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 수혜주
  • 갤럭시아에스엠(+0.83%p) – 콘텐츠+STO 테마, 정책 기대감 유입
  • 컴투스홀딩스(+0.78%p) – 블록체인·게임 플랫폼, 투자 확대 기대
  • 삼양엔씨켐(+0.68%p) – 2차전지 소재 관련 기업, 실적 기대 반영
  • 쿠콘(+0.64%p) – 금융데이터 API 강자, 디지털금융 수요 확대
  • 핑거(+0.63%p) – 디지털자산 플랫폼 구축 기대, 정책 수혜 예상
  • 코오롱(+0.6%p) – 전통 제조+미래 바이오, 가치 재평가
  • 해성디에스(+0.58%p) – 반도체 기판 및 소재 관련 수급 유입
  • 아톤(+0.58%p) – 인증·핀테크 핵심 기업, 외국인 동반 매수

💼 기관 지분율 하락 Top 10

  • 유라클(-1.95%p) – 지역화폐 관련주, 단기 기대감 선반영 후 조정
  • 나우로보틱스(-1.77%p) – 로봇 테마, 고점 인식 매물
  • 신한제11호스팩(-1.75%p) – 스팩 테마 소멸에 따른 기관 이탈
  • 에스오에스랩(-1.13%p) – 라이다 센서, 기술주 전반 수급 둔화
  • 하이스틸(-0.82%p) – 철강 테마 약세
  • 에이치브이엠(-0.71%p) – 바이오 소형주, 재료 약화
  • 광명전기(-0.70%p) – 전력기기 업체, 테마주 흐름 약화
  • 원일티엔아이(-0.65%p) – 부품·장비 기업, 관심도 감소
  • 올릭스(-0.65%p) – RNA 치료제 개발업체, 실적 가시성 부족
  • 한중엔시에스(-0.64%p) – IT 부품 관련, 매도 우위 전환

🌍 외국인 지분율 상승 Top 10

  • 아톤(+1.98%p) – 스테이블코인·핀테크 정책 수혜주
  • 포바이포(+1.95%p) – AR·VR 콘텐츠 기업, 성장 기대감
  • 삼양엔씨켐(+1.77%p) – 반도체·2차전지 핵심 소재 수출 확대 기대
  • 뱅크웨어글로벌(+1.57%p) – 증권사 시스템 공급, 핀테크 투자 확대
  • 동양철관(+1.41%p) – SOC 인프라 관련주, 정책 수혜 기대
  • KBI메탈(+1.22%p) – 비철금속 수요 확대 기대
  • 와이즈넛(+1.21%p) – 생성형 AI, 정책 기대감 부각
  • 형지엘리트(+1.02%p) – 교복·유니폼 수출주, 리오프닝 테마
  • 세명전기(+1.00%p) – 전선 수요 확대 수혜주
  • 비상교육(+0.98%p) – 디지털 교육 콘텐츠 부각

🌍 외국인 지분율 하락 Top 10

  • 일신석재(-2.25%p) – 대북 기대감 약화, 매도 전환
  • TS인베스트먼트(-1.86%p) – 창투사 수급 둔화
  • 한국선재(-1.78%p) – 전선 수급 피로감
  • DSC인베스트먼트(-1.48%p) – 정책 기대 반영 후 조정
  • 더즌(-1.26%p) – 콘텐츠주 고점 논란
  • 시선AI(-1.04%p) – 생성형 AI 기대감 단기 고점
  • 에이럭스(-1.02%p) – 낙폭 과대 인식 소멸
  • 우진(-0.96%p) – 원전 테마 단기 숨고르기
  • 한텍(-0.90%p) – 기계주 조정
  • 씨아이테크(-0.85%p) – 키오스크 관련주 수급 둔화

👤 개인 지분율 상승 Top 10

  • 나우로보틱스(+2.81%p) – 로봇주, 개인 단타 수급 유입
  • 유라클(+2.41%p) – 지역화폐 테마, 기관 매도 반사 수혜
  • 일신석재(+2.17%p) – 대북주, 외인 매도분 흡수
  • DSC인베스트먼트(+2.10%p) – 창투사, 정책 기대감 재매수
  • 시선AI(+1.92%p) – AI 테마, 개인 주도 매수
  • 더즌(+1.91%p) – 콘텐츠주, 기술적 반등 기대
  • TS인베스트먼트(+1.83%p) – 외인 이탈, 개인 저가 매수
  • 한국선재(+1.79%p) – 전선주, 개인 중심 반등
  • 신한제11호스팩(+1.75%p) – 스팩 테마, 단기 반등 시도
  • 하이스틸(+1.57%p) – 철강 소형주, 낙폭과대 반등 기대

👤 개인 지분율 하락 Top 10

  • 아톤(-2.78%p) – 외국인·기관 집중 수급
  • 삼양엔씨켐(-2.00%p) – 소재주, 외인 매수 확대
  • 세명전기(-1.94%p) – 정책 수혜 기대, 기관 수급 주도
  • 뱅크웨어글로벌(-1.62%p) – 외국인 집중 매수
  • 동양철관(-1.38%p) – 외인 쏠림
  • 포바이포(-1.24%p) – AR 콘텐츠 테마, 개인 이탈
  • KBI메탈(-1.22%p) – 소재주, 외국인 매수 전환
  • 와이즈넛(-1.13%p) – AI 테마, 외국인 비중 증가
  • 형지엘리트(-1.02%p) – 교복주, 단기 테마 이탈
  • 쿠콘(-1.00%p) – 핀테크 관련 기관 매수 집중

🎯 전략 포인트 요약

  1. 외국인 수급 회복이 증시 방향성 주도
    • 6월 들어 코스피 3.1조 순매수, 특히 전기전자·금융 중심
    • 외국인 수급은 정책 기대감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이슈에 반응
  2. 정책 모멘텀 강화
    •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 정책 기대
    •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 논의 본격화 → 유통·증권주에 긍정적
  3. 미중 무역협상 진전 가능성
    • 런던 고위급 회담 시작, 희토류 통제 완화 등 긴장 완화 시그널
    •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에 도움
  4.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상승
    • 고용·서비스 지표 둔화 →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 위험자산 매력 ↑, 외국인 자금 유입 지속 기대
  5. 차익실현·기술적 과열 경계 필요
    • 2차전지, 조선, 바이오 등 일부 업종은 단기 과열 국면
    • 업종별 순환매 가능성 높음 → 밸류에이션 안정 구간 주목

💬 투자자에게 드리는 한마디

정책 방향성과 외국인 수급이 일치할 때, 시장은 강합니다. 정치 리스크 해소, 주주환원 정책, 글로벌 완화 기대감까지…
이 흐름을 기회로 삼되, 차익실현 구간에선 업종별 옥석 가리기가 필요합니다.”

📌 지금은 테마에 쏠림보다는, 수급과 실적이 겹치는 종목에 집중하세요.
📌 낮은 밸류에이션 + 정책 수혜 업종(금융, 전선, 반도체, 증권 등)에 관심 유지
📌 차익실현 매물 나오는 고평가 업종은 리밸런싱 고려

 

 


 

👉 본 내용은 단순히 투자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 정리입니다.

👉 만수르_찰리블로그  https://blog.naver.com/stock_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