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미국 증시 마감
2025년 4월 25일(금) 美증시 마감 / 주요 일정
만수르_찰리
2025. 4. 25. 07:44
🌐 뉴욕증시 마감 시황
⭐️ 증시 한줄평: "무역 협상 기대감과 연준의 금리 인하 시사에 기술주 랠리 재점화!"
✅ 주요 지수 마감 요약
지수 | 종가 | 들락폭 |
다우존스 | 40,093.40 | ▲ 486.83 (+1.23%) |
나스닥 | 17,166.04 | ▲ 457.99 (+2.74%) |
S&P500 | 5,484.77 | ▲ 109.46 (+2.03%) |
필라델피아 반도체 | 4,208.19 | ▲ 224.22 (+5.63%) |
러셀2000 | - | ▲ 2.00% |
💵 주요 이슈 요약
- 무역 협상 기대감: 트럼프 대통령이 "2~3주 내 국가별 관세율 재조정" 언급 및 중국과 회의 진행 중이라는 발언.
- 연준 발언: 해맥 총재와 월러 이사 등 주요 인사들의 6월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 경제지표: 내구재 수주 호조(+9.2%)에도 기존 주택 판매 급감(-5.9%) 등 혼조.
- 국채금리 하락·달러 약세·금 반등: 연준의 비둘기적 메시지에 금리 하락과 함께 달러는 약세, 안전자산 금 반등.
🔍 섹터별 동향
- ✅ 강세 섹터: 반도체(+5.63%), 대형 기술주, 소프트웨어, 에너지, AI/양자컴퓨팅, 우주항공/드론
- ❌ 약세 섹터: 생활소비재(프록터앤갬블 -3.74%, 펩시코 등), 일부 자동차 부품
🚀 강세 특징주 및 테마
- 📈 반도체 전반 상승세:
브로드컴(+6.35%), AMD(+4.51%), 마이크론(+6.16%), TSMC(+4.04%), 램리서치(+6.25%)
텍사스인스트루먼트(+6.56%), 온세미(+9.12%), NXP(+7.02%) 등 대거 강세
→ 엔비디아(+3.62%)는 AI 전력 수요 관련 기대감 지속 - 📡 AI·소프트웨어 관련주:
서비스나우(+15.49%), 팔란티어(+6.90%), 시놉시스(+3.95%)
클라우드스트라이크(+7.34%), 세일즈포스(+5.68%), 오라클(+4.65%) - 📡 로봇/드론/항공 관련:
로켓랩(+7.74%), 아처항공(+6.62%), 조비항공(+5.19%), 팔라딘AI(+7.37%) - 🔋 전력망·에너지 인프라:
GE 버노바(+7.26%), 비스트라(+3.53%), 컨스텔레이션 에너지(+3.94%)
→ 엔비디아·아마존발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 기대 - 🚗 전기차/자율주행:
테슬라(+3.50%) 로보택시 출시 기대감, GM(+2.27%), 포드(+2.86%)
📉 약세 특징주
- 생활소비재: 프록터앤갬블(-3.74%), 펩시코(-4.01%), 달러제너럴(-1.70%)
- IBM(-6.58%): DOGE 관련 계약 취소 이슈 및 가이던스 불확실성
- 파이서브(-18.52%): 결제 부문 수요 감소로 실적 부진
- 트랙터서플라이(-3.41%): 매출 실망감
🧭 투자자 체크 포인트
- 관세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 단기 상승 모멘텀 지속 가능
- 연준의 고용지표 기반 스탠스 변화 → 6월 금리 인하 기대 강화
- 기업 실적 시즌 중 반도체·기술주 중심 종목 장세 확대
- 단기 급등 이후 일부 차익 매물 가능성 주의
✅ 오늘의 증시 일정 (04/25 목요일, 美 현지 기준)
📌 주요 경제지표 발표
- 미국 1분기 GDP 예비치 발표 (현지시간 오전 8:30)
‣ 시장 예상: 전기 대비 연율 +2.5%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오전 8:30)
‣ 예상: 21.5만 건
📌 연준 연설
-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 (오후 1:00)
📌 주요 기업 실적 발표
- 알파벳(GOOGL) (장 마감 후, 실적 및 배당/자사주 이슈 주목)
- 인텔(INTC) (장 마감 후, 시간외 주가 변동성 가능성 주의)
- 마이크로소프트(MSFT)
- 서비스나우(NOW)
- 도미노피자(DPZ)
- 사우스웨스트항공(LUV)
- 허쉬(HSY) 등
💬 투자자에게 드리는 한마디
"시장은 '기대감'을 먹고 움직입니다. 무역 협상과 통화정책 변화 기대가 투자 심리를 이끌고 있지만, 현실화 여부에 따라 언제든 조정은 찾아올 수 있습니다. 기술주 강세 속 종목 선별력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 단기 급등에 휩쓸리기보다 '모멘텀+실적'을 겸비한 종목 위주로 냉정하게 접근해 보세요."
반응형